본문 바로가기
  • 시 쓰는 개발자

전체 글361

리스트와 문자열은 동일한가?? 파이썬 문법에서 문자열을 리스트처럼 다룰 수가 있기에 종종 이 둘이 같은지 헷갈릴 때가 있다. 예를 들면 name = "kim min su" 라고 하면, name[1] 이라고 할 때 i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파이썬에서 리스트와 문자열은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정답은 "No"이다. 리스트와 문자열은 모두 시퀀스(sequence) 자료형이지만, 내부 구현과 사용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는 가변(mutable) 자료형라서 원소들을 추가, 삭제, 변경할 수 있지만, 문자열은 불변(immutable) 자료형이라 원소를 변경할 수 없다. 이는 굉장히 굉장히 중요한 사실이다. 이걸 모르고 문자열을 리스트처럼 생각하고 계속 바꾸려고 시도한다면 코딩 테스트에서 낭패를 볼 수 있다. .. 2023. 3. 6.
API 명세서 작성하기 예전에 api 관련 글을 쓴 적이 있다. https://100won-developer.tistory.com/21 API란 무엇인가 (+REST API) API sw가 다른 sw로부터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하거나,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수단. ▶ 어떤 기술이나 제품이 아니라 “형식”이기 때문에 어떤 언어나 어떤 프레임워크를 쓰든, 어떤 SW를 만들든 이 100won-developer.tistory.com 이때는 api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rest api는 무엇인지, 전체적인 맥락을 가볍게 훑어보았다. 이번에는 API 명세서 작성하는 방법을 써보려고 한다. API 명세서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명세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프로그.. 2023. 2. 19.
PUT과 PATCH의 차이점 PUT과 PATCH는 모두 HTTP 메소드 중에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메소드이다. 둘 다 수정을 담당하는 메소드라서 어떤 것을 언제 사용해야하는지 헷갈리는데, 일반적으로 PUT과 PATCH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PUT은 전체 엔티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전체를 교체하기 때문에 PUT을 쓸 때에는 모든 필드가 필요해서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리소스의 전체 표현을 제공해야 한다. 만약 PUT을 쓸 때 필드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만을 제공한다면 제공한 일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필드값이 NULL이 되거나 default값이 되므로 주의해야한다. → 그래서 이런 실수를 방지하고자 일부러 PATCH만 쓰도록 개발자들끼리 약속하기도 한다. PATCH는 부분적인 업데이트 즉 엔티티의.. 2023. 2. 19.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프레임워크(Framework)와 라이브러리(Library)는 목적과 동작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제공하는 일종의 뼈대이다.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조와 흐름을 결정하고,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규칙과 템플릿을 따르며,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는 방식이다. 프레임워크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개발을 진행하므로, 일관성 있는 코드를 작성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는 Spring, Django, Ruby on Rails 등이 있다. // 즉,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뼈대를 제공하고, 개발자가 규칙과 템플릿을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필요에 따.. 2023. 2. 18.
github로 협업하기 (초보자용 AtoZ) "깃허브로 협업한다"라는 말은 자주 듣지만 정확히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해도 깃허브 기능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팀프로젝트를 할때마다 깃허브는 항상 새로웠던 경험이 있어서... 이제는 그러지 않기 위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협업을 위한 repository를 github에 만든다. 이 repository가 바로 우리가 코드를 올리는 장소인 것이다. 이때, 만약 웹서비스를 만든다고 하면 FE와 BE가 있을텐데 이 둘을 나누느냐 마느냐도 선택해야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FE레포와 BE레포를 따로 파는 것이 좋다. 만약 하나의 레포에 만든다고 하면 FE/BE 폴더를 각각 따로 만들어서 해주면 되는데 이때 문제가 있다. 먼저, branch별로 기능을 관리하기가 어렵다... 2023. 2. 18.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차이점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 이들의 차이점을 러프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클라이언트 서버 역할 정보를 요청하고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고 저장하는 컴퓨터 컴퓨터 종류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는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작은 규모의 컴퓨터 서버는 대규모의 컴퓨터 또는 컴퓨터 클러스터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일반적으로 자신의 로컬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정보를 저장 대개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 네트워크 연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위해 인터넷 또는 내부 네트워크와 같은 연결을 사용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고, 응답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보안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하고 자신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간단한 .. 2023. 2. 18.
#15 적응 – 2023.02.06. 세월이 흐를수록 하면 안 되는 것의 범위는 좁아지고 해도 되는 것의 범위는 더 넓어지니 과거에는 하면 안 되는 행동들이 이제는 행해지고 있고 범주의 경계를 넘어 너나 할 것 없이 오직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 이때, 과거인들은 하면 안 되는 것의 범위가 좁아지지 않은 세계에 살고 있고 현대인들은 범위가 좁아진 곳에 살고 있으니 이 간격을 줄일 수가 없고 서로를 이해할 수도 없다. 정확히는 서로를 이해하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아이러니한 것은 여기서 말하는 과거인은 몇 십년 전도 아니고 단 몇 년 전이며 심하면 단 1년 전이라도 해당된다는 것이다. 세월이 흐르다 보니 나도 어느새 과거인이 되어있었고 나 또한 누군가를 이해하지 못한 채 남아 그저 그렇게 살아간다. 적응하지 못한 채로. 2023. 2. 7.
#14 양과 늑대 – 2023.01.24. 나는 양이다. 양은 양들과 섞여있을 때 가장 양답다. 개중에는 양의 순진한 성격을 싫어하는 양도 있다. 그런 양이 순진한 양들을 떠나 늑대처럼 행동한다고 해서 양이 늑대가 될 수는 없다. 그저 성격이 사나운 양이 될 뿐이다. 잠시나마 늑대들 사이에 섞여 놀 수는 있다. 그러나 결국 자신이 양임을 깨닫게 된다면 결국 양들 곁으로 돌아오게 되어있다. 양은 양답게 사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 양이 늑대가 되려고 하는 것은 어쩌면 객기 오만 그러나 그것을 깨닫기 전까지는 희망 기회 2023. 2. 6.
#13 카페 – 2023.01.22. 카페의 소음은 색깔을 섞는 것 같다 하나 하나 가까이서 들어보면 모두가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내 자리에서 듣는 소리는 그저 웅성거림에 불과하니 마치 여러 색깔이 섞여 알 수 없는 색이 탄생하는 것처럼 개개인들이 모여서 만드는 불규칙한 하모니 그것 또한 조화가 아닐까 // 이런 시를 쓸 때는 실제로 장소가 카페인 경우가 많습니다.. 동네 스타벅스에서 썼던 기억이 있네요 2023.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