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 쓰는 개발자

코테3

대충 만든 자판 def solution(keymap, targets): d = dict() result = [] for i in keymap: for target in i: if target in d: # 값이 이미 있을 때 d[target] = min(i.index(target) + 1, d[target]) else: # 값을 처음 넣는 경우 d[target] = i.index(target) + 1 for i in targets: sum = 0 for target in i: if target not in d: sum =.. 2024. 5. 19.
코테 문법정리 (1) - 실수형, 연산자 정수형 대부분의 입출력 형태이다. pass 실수형 제일 조심해야하는 게 바로 실수형이다. 일단 표현 방식부터 알아보자. 1.23 1e9 # 10억 67.22e1 # 672.2 65e-1 # 6.5 우리가 아는 방식 외에도 e나 E를 이용해서 위와같이 표현할 수 있다. 큰 수는 저렇게 문제가 나오기도 하니 알아두자. 부동 소수점 실수를 처리할 때 부동소수점 방식을 이용하기에 0.3 + 0.6은 0.89999999.... 로 저장된다. 보통 정수나 문자열 등으로 입출력을 받기에 이런 것 까지 고려하는 문제는 잘 나오지 않겠지만 알아는 두자. round 함수 - round(실수, 반올림하고자 하는 위치-1) 위 상황처럼 소수점으로 곤란할 때 round함수를 쓸 수 있다. 윗줄에서 말한 반올림하고자 하는 위치-.. 2024. 3. 14.
문제풀이 & 오답노트 양식 step 1. 논리적인 흐름 직접 써내려가며 문제 파악하기 step 2. 적합한 자료구조 생각하기 step 3.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계산해보기 step 4. 문제 풀기 (20~30분 투자) step 5. 문제 정리 / 오답노트하기 문제 분석 알고리즘 설계 내 코드 틀린 이유 코드 수정 느낀점 추가하면 좋은 것)) 시간복잡도 2024.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