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개념정리 24.08.09.금 ~
큰 결정에 큰 동기가 따르지 않을 때도 있다. 하지만 큰 결심이 따라야 이뤄낼 수 있다.
무조건 무조건 1일 1개의 개념 정리하기 !!!!!!!!!!!!!!!!!!!!!!!!!!!!!
#83. 카오스 이론
혼돈의 카오스, 서쪽의 웨스트,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 카오스 이론은 "초기 조건에서 작은 차이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라는 이론이다. 나비효과 이론이랑 같은 맥락이고, 예측 불가능, 민감도, 복잡한 패턴 등을 연구한다고 한다. 오늘은 혼돈의 카오스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카오스 이론
카오스 이론은 초기 조건의 작은 차이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카오스 이론에서 말하는 몇가지 중요 개념들이 있다.
- 민감한 초기 조건 : 시스템의 초기 상태가 조금만 달라져도 결과는 크게 달라짐. ex) 기상청에서 미세한 바람의 변화로 강풍 예측 실패 등
- 비선형성 : 즉, 입출력 조합이 선형적이지 않아서 입력에 비례하지 않는 큰 출력이 생김. ex) 원래 10넣으면 100, 20넣으면 200으로 예측중이었는데 30넣었을때 900나와버림
- 자기 조직적 패턴 : 겉으로 보기엔 무질서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특정 패턴이나 질서가 존재해서 작은 변화가 크게 어긋날 수 있음. ex) 프랙탈 구조
이런 특징을 가장 크게 보여주는 것이 해시가 아닐까 싶다. 초기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고, 비선형적이고 ....
Input1: "Hello, World!"
Hash1: 65a8e27d8879283831b664bd8b7f0ad4
Input2: "Hello, World?"
Hash2: 37f332f68db77bd9d7edd4969571ad671
블록체인에서의 카오스 이론
블록체인에서 카오스 이론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는데, 동작 방식이 좀 연관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복잡한 분산 시스템이고 작은 변화에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 블록 무결성 : 블록의 데이터가 아주 조금만 변경되어도 해시 값이 완전히 바뀌어 체인의 무결성을 손상.
- 민감한 초기 조건 : 입력 데이터의 변화(거래 내용)가 전체 블록의 연결 구조를 바꿈.
- 충돌 회피 : 충돌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SHA-256 같은 복잡한 해시 알고리즘 사용.
예를들어 ... 거래 A에서 비트코인 0.00001만 조작하려고 해도, 체인으로 이어진 모든 블록체인 해시값이 변경되어야하고 이는 네트워크 자체가 거부한다.
그리고 블록체인에서 말하는 비선형성은 이렇다. 만약 누군가 대량의 거래를 요청하면 이것이 큰 파장을 부를 수 있는데, 왜냐면 거래가 폭증하게되고 → 그러면 노드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 전체 네트워크 성능 저하되고 → 블록 생성 시간이 지연된다. 실제로 예전에 특정 인기 NFT의 실행이 네트워크 과부하를 초래해서 거래 비용이 급격히 증가한 적이 있다
'1일 1개념정리 (24년 8월~12월)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1개 (93) - 송로버섯과 프랑스 초콜릿 (0) | 2024.11.26 |
---|---|
1일1개 (72) - 빼빼로 하나 0.0004이더리움에 살게요 (0) | 2024.10.28 |
1일1개 (68) - 중동 석유 부자가 맘먹고 블록체인 해킹하기 (3) | 2024.10.24 |
1일1개 (54) - 아니 네 만원이랑 내 만원이랑 가치가 같다고요 (1) | 2024.10.08 |
1일1개 (34) - 화성 보내주는 단 하나의 도구 (1) |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