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 쓰는 개발자

CS 개념/LINUX3

Linux Permission Linux Permission퍼미션이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하여 보호하는 개념이다. 파일 권한 확인하기ls -al 맨 왼쪽에 rwx~~ 부분이 파일의 mode이다. 맨앞에 알파벳을 보면, d로 시작하는게 2개가 있고 -로 시작하는게 2개가 있다. 그리고 맨 오른쪽을 보면 위 2개는 .와 ..이라고 되어있는데 이것은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밑에 2개는 파일명을 의미한다. 즉, d는 디렉토리이고 -는 파일이다.d : directory- : filer : readw : writex : executekwanghwi, root : 파일 소유자 명을 의미한다. 왼쪽은 Owner, 오른쪽은 Group이다.4096, 1277936 등 : 파일 사이즈 (바이트.. 2024. 4. 5.
리눅스로 *.c파일 컴파일하기 GCC란? GCC는 GNU Complier Collection의 약자로, 리눅스를 공부하며 접하게 된다. 영어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컴파일러이다. 그래서 리눅스상에서 어떤 파일을 만들고 실행하고 싶을 때 컴파일하는 도구로써 사용된다. 참고로, 약자에서 나오는 GNU는 운영체제라고 생각하면 되고, GNU와 Linux를 합쳐서 사용하기 때문에 Linux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C언어를 작업할 때 접하고, 요즘엔 C++, java등도 지원한다고 한다. 컴파일 과정 컴파일 과정을 알아야하는 이유는, 하나의 소스파일이 실행되면서 점점 이상한 확장자의 파일들이 생기는데 그때마다 혼란스럽지 않기 위함이다. 컴파일해서 소스코드가 실행파일이 되는 과정을 4가지 단계를 거친다. 즉, 저기 아래에서 이야기할 예정인 .. 2023. 11. 26.
LINUX란 ? LINUX 리눅스는 본질적으로 하드웨어와 여러 자원들을 관리해주는 "운영체제"이다. 리눅스는 유닉스(UNIX)라는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는데, 유닉스보다 명령어 등을 좀 더 쉽게 바꾸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였다. 리눅스는 OS임에도 불구하고 오픈소스라서, 누구나 소스코드를 이용/수정/재배포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에 맞게, 그리고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수정해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분투가 나왔다고 할 수 있다. 현재는 가정용도 포함해 웹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임베디드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LINUX의 특징 오픈소스 : 오픈소스라는 것이 어쩌면 가장 큰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여러 분야에서 자유롭게 활용하고, 각자 상황에 맞게 수정하며, 버그를.. 2023.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