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 쓰는 개발자

CS 개념/기타 개념4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프레임워크(Framework)와 라이브러리(Library)는 목적과 동작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제공하는 일종의 뼈대이다.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조와 흐름을 결정하고,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규칙과 템플릿을 따르며,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는 방식이다. 프레임워크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개발을 진행하므로, 일관성 있는 코드를 작성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는 Spring, Django, Ruby on Rails 등이 있다. // 즉,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뼈대를 제공하고, 개발자가 규칙과 템플릿을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필요에 따.. 2023. 2. 18.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차이점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 이들의 차이점을 러프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클라이언트 서버 역할 정보를 요청하고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고 저장하는 컴퓨터 컴퓨터 종류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는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작은 규모의 컴퓨터 서버는 대규모의 컴퓨터 또는 컴퓨터 클러스터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일반적으로 자신의 로컬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정보를 저장 대개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 네트워크 연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위해 인터넷 또는 내부 네트워크와 같은 연결을 사용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고, 응답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보안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하고 자신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간단한 .. 2023. 2. 18.
쿠키와 캐시 쿠키 쿠키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웹사이트에서 로그인 정보, 사용자 환경 설정, 장바구니 등을 저장하고 다음에 같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다시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쿠키는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수신된 웹 페이지에서 쿠키를 읽을 수 있습니다. 캐시 반면에 캐시는 브라우저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저장소이며, 최근에 방문한 웹 페이지의 일부분을 저장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한 페이지를 더 빠르게 로드할 수 있습니다. 캐시는 브라우저에서 수신한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저장하고 다음에 같은 웹 페이지를 방문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빠른 로딩과 인터넷 대역폭을 절약할 수.. 2022. 12. 9.
부동소수점 부동 소수점(浮動小數點) – floating point - 십진법 우리가 쓰는 표현은 decimal number, 10이 기준이 되는 표현방식이다. - 이진법 2를 기준으로 설명하게 된다. 정확히는 이진법 10(2)을 기준으로 생각하는 것. 이진법에서는 0.1을 2개 가져다 놓으면 이는 1.0이 된다. “십진” 유한소수점수, “십진” 무한소수점수 유한소수점수 : 말 그대로 소수점이 유한, 즉 3/4, 0.2 등 분모에 적당한 자연수 값을 곱하면 10의 거듭제곱 꼴이 된다. 무한소수점수 : 0.3같은 경우 10으로 계속 나눠도 완벽하게 갈라지지 않아서 이는 0.33333....이 된다. “이진: 유한소수점수, ”이진“ 무한소수점수 무한소수점수 : 대표적으로 십진수 0.1이 이진무한소수점수 이다. 즉, 딱 .. 2022.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