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 쓰는 개발자
1일 1개념정리 (24년 8월~12월)/네트워크, 클라우드

1일1개 (92) - 자기 옷에 이름쓰고 다니는 애기 패킷

by poetDeveloper 2024. 11. 25.

1일 1개념정리 24.08.09.금 ~ 

 

큰 결정에 큰 동기가 따르지 않을 때도 있다. 하지만 큰 결심이 따라야 이뤄낼 수 있다.

무조건 무조건 1일 1개의 개념 정리하기 !!!!!!!!!!!!!!!!!!!!!!!!!!!!!


#92. MPLS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라우팅 프로토콜 관련해서 공부하다가, MPLS라는 것을 보았다. 패킷 전송을 빠르게 하기 위한 기술이라는데, 궁금해서 정리해본다.

 

MPLS

MPLS는 고성능 네트워크 관련 기술로, 패킷 전송을 가속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는 4계층인 Transport 계층에서 사용하는데, IP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토콜과 호환 가능해서 이름에 "Multi-Protocol"이라는 용어가 포함됐다.

 

MPLS의 작동 원리

MPLS의 작동 원리는 간단히 보면 패킷에 이름 적어놓고, 빠르게 확인하고 보낸다는 것이다.

  1. 라벨링 : 패킷이 이동하기 전에 라우터가 각 패킷에 "라벨"을 붙인다. 이 라벨에는 패킷이 어떤 경로로 가야하는지 나와있다. ↔ 전통적인 라우팅 방식은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을 전송하지만, MPLS는 라벨 기반이라 더 빠르게 전송한다.
  2. 라우팅과 스위칭 : MPLS 네트워크에서 패킷은 라벨을 참조하여 전송된다. 그래서 라우터가 IP 헤더를 분석할 필요 없으니까 라벨을 기준으로 패킷을 전달하면 돼서 빠르다.
  3. 라벨 교환 : 패킷이 MPLS 네트워크를 통과할 때, 각 라우터는 패킷의 기존 라벨을 새 라벨로 교환하면서 다음 hop으로 전송한다.

 

장점

  1. 속도와 성능 : 라벨 기반이라 전송에 있어서 패킷 처리 속도가 더 빠르다.
  2. 품질 보장( = QoS = Quality of Service) : MPLS는 대역폭과 우선 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여 VoIP, 비디오 스트리밍 등 품질이 중요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3. 확장성과 유연성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