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 쓰는 개발자
1일 1개념정리 (24년 8월~12월)/테스팅 , SW공학개론

1일1개 (86) - 방탄 테스팅 소년단

by poetDeveloper 2024. 11. 19.

1일 1개념정리 24.08.09.금 ~ 

 

큰 결정에 큰 동기가 따르지 않을 때도 있다. 하지만 큰 결심이 따라야 이뤄낼 수 있다.

무조건 무조건 1일 1개의 개념 정리하기 !!!!!!!!!!!!!!!!!!!!!!!!!!!!!


#86. BTS (Bug Tracking System)

SW 버그를 추적하는 도구중에 BTS라는 게 있다. 이거 이름을 의도적으로 이렇게 지은 것 같은데 그냥 웃기다. 내용 자체는 쉽지만, 가끔 "BTS 사용 경험 있어요?"를 물어볼 때 당황하지 않기 위해 정리해보려 한다. 오늘은 BTS에 대해 알아보자.

 

BTS

BTS는 버그를 관리하는 도구를 뜻한다. 내용 자체는 간단하다. 결국 버그 관리 툴이다. BTS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버그 등록 : 발견된 버그를 기록

ex. 버그 설명, 재현 단계, 발견된 환경(OS, 브라우저 등), 심각도, 우선순위 등

 

2. 버그 추적 : 버그 보고 시점부터, 해결되고 테스트하고 종료될 때까지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관리. 상태를 Open, In Progress, Resolved, Closed 등으로 구분함.

 

3. 담당자 할당 : 버그를 해결할 적절한 팀원(개발자, QA 등)에게 할당.

 

4. 우선순위 설정 : 각 버그의 심각도와 비즈니스 영향에 따라 우선순위를 지정. 매출에 얼만큼 영향가는지, 사용자에게 얼마나 영향가는지 등을 판단함.

ex. Critical, High, Medium, Low

 

5. 보고서와 분석 : 버그 발생 빈도, 해결 시간, 버그 분류 등 통계 및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개발팀의 성과를 분석.

 

6. 이력 관리 : 버그 상태 변경, 수정 내역, 커뮤니케이션 등을 기록.

 

BTS 활용 프로세스 예시

  1. QA가 버그 발견 후 등록 → 상세 정보를 포함한 티켓 생성.
  2. 개발자가 티켓 검토 및 해결 재현 가능한지 확인하고 코드 수정.
  3. QA가 수정 사항 검증 수정된 버그가 재발하지 않는지 확인.
  4. 버그 종료 수정 사항이 최종 승인되면 상태를 "종료"로 변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