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수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0312 화요일
OS 14개 기본 규칙 (믿고 가기)
8. 모든 내부 활동들은 메인 메모리를 사용한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다. 즉, 컴퓨터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다 = CPU가 메인 메모리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실행중이다.
9. 프로그램은 User Program(System Program) / OS Program 이렇게 2개의 종류만 있다. Application들은 다 User Program 이다. 브라우저, 컴파일러, 에디터같은 것들은 System Program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는 User Program으로 합쳐서 간주한다.
10. 모든 프로그램은 User Program / OS Program으로 나뉜다.
11. OS가 하는 일은 프로세스 관리, 자원 관리, 그리고 프로그램 컨트롤이다.
- Process Management
- Start to execute, run, stop
- 스케쥴링, 커뮤니케이션, 동기화 등
- Resources(하드웨어) Management
- 물리적 자원 : CPU, 메모리, I/O Device 등
- 논리적 자원 : Time, File 등
- 프로그램 컨트롤
- 컴퓨터의 오류와, 컴퓨터의 부적절한 사용을 예방한다.
12. 우리는 단일 CPU와 멀티 유저를 가정한다.
- 각 유저는 멀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 멀티 유저를 가정하므로 시스템 안에서 한번에 여러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13. 프로세스에 의해 공유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최대한 효율적으로 동작해 모든 사용자와 프로그램을 행복하게 만들어야 한다.
- 행복은 유저 편의성과 신속성에서 나온다.
- 이를 위해 OS는 공정하고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해야한다.
▶ 이것이 바로 OS의 목표이다. 유저의 행복을 위해 존재하고, 행복은 유저 편의와 자원관리의 효율성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14. OS는 유저프로그램과 하드웨어를 분리하여 유저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한다.
▶ 하드웨어는 많은 유저가 공유하고 있으므로 유저가 직접 하드웨어를 사용할 권한이 없다. 오직 OS만이 하드웨어를 직접 사용할 권한이 있고, 유저가 하드웨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OS에게 요청해야 한다.
Ex) 유저가 OS에게 요청하는 과정 ( Start to Execute )
유저가 OS에게 System Call (open, close, write, read) → OS는 유저가 찾아달라는 파일을 HDD에서 찾음 → OS가 해당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 OS는 유저가 원하는 그 파일의 첫번째 주소를 PC값에 넣어준다.(start과정)
'CS 개념 (~24년 7월)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M, ROM, Booting (0) | 2024.03.28 |
---|---|
CPU Instruction Cycle, Interrupt 개요 (1) | 2024.03.25 |
CPU 레지스터 (2) | 2024.03.22 |
OS 기본규칙 (1) (1) | 2024.03.17 |
과장님이 되는 운영체제 (1) | 2024.03.17 |